
[브리핑] 이재명 대통령, 울프 크리스터손 스웨덴 총리와 첫 통화 (2025년 7월 23일)
📌 한·스웨덴 외교의 새 출발, 정상 통화에서 확인된 협력 의지
2025년 7월 23일, 이재명 대통령은 울프 크리스터손(Ulf Kristersson) 스웨덴 총리와 취임 후 첫 전화 통화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통화는 단순한 축하의 인사를 넘어서, 외교·경제·문화 등 다방면의 실질적 협력을 모색하는 계기로 평가됩니다.
🧭 스웨덴과의 외교 협력: 한국전부터 이어진 신뢰
한국과 스웨덴은 1959년 공식 수교를 맺었지만, 양국 관계의 뿌리는 그보다 더 깊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스웨덴은 중립국임에도 유엔군 야전병원을 운영하며 수많은 한국인 병사와 민간인을 치료했고, 이후 중립국감독위원회(NNSC)의 일원으로 한반도 정전 감시 활동에도 참여해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통화에서 이러한 스웨덴의 기여를 높이 평가했고, 크리스터손 총리 역시 한국 신정부 출범을 계기로 고위급 교류를 재개하고 긴밀한 협력을 지속하자는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 중립국감독위원회(NNSC)와 한반도 평화의 상징
1953년 정전협정 체결과 함께 설치된 NNSC는 정전 유지와 군사적 충돌 방지를 목적으로 활동하며, 스웨덴은 오늘날까지도 이 임무를 수행 중입니다. 북한 대표단은 사실상 철수한 상태이지만, 스웨덴과 스위스는 여전히 판문점에서 감시 활동을 지속하고 있어, 한반도에서의 스웨덴의 외교적 상징성이 여전히 유효합니다.
💡 교역·투자, 공급망, 첨단산업… 전략적 파트너십 전망
이번 정상 통화에서는 교역·투자 확대 가능성과 함께 국방·안보·문화·공급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확대가 논의됐습니다. 특히 스웨덴은 볼보, 에릭슨, H&M, IKEA 등 세계적 기업을 보유한 산업 강국이며, 탄소중립 기술과 친환경 산업, 디지털 혁신에 앞서 있는 나라입니다.
대한민국의 기술력과 스웨덴의 산업 노하우가 결합될 경우, 양국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 ✔ 친환경 에너지 기술 협력 (해상풍력, 수소 에너지 등)
- ✔ 디지털 전환: 스타트업, AI, 클라우드 기술 연계
- ✔ 방산 분야 기술 교류 및 방위산업 협력
- ✔ 문화 콘텐츠 및 인적 교류 활성화
🔍 빠른 시일 내 대면 회담 추진… 실질적 외교로 이어질까
이재명 대통령과 크리스터손 총리는 전화 통화에서 직접 만나 상호 관심사를 논의하자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이는 단발성 통화로 끝나지 않고, 향후 실질적 정상외교로 이어질 가능성을 열어둔 대목입니다.
이러한 외교 행보는 대한민국의 다자외교·경제외교 전략과도 맞닿아 있으며, 특히 중립적 지위의 유럽 국가들과의 협력은 대북 정책이나 국제무대에서의 중재 가능성까지 고려한 포석일 수 있습니다.
📄 대통령실 공식 브리핑 전문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7.23, 수) 「울프 크리스터손(Ulf Kristersson)」 스웨덴 총리와 취임 후 첫 통화를 가졌습니다.
크리스터손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하며, 한국의 신정부 출범을 계기로 양국 간 고위급 교류를 재개하고 긴밀한 소통을 지속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스웨덴 총리의 취임 축하에 대해 사의를 표하며, 1959년 외교관계 수립 이래 지속 발전해 온 양국 간 우호 협력 관계를 앞으로 한층 더 강화해 나가자고 했습니다.
양 정상은 양국 간 교역·투자 확대를 위한 경제 협력 잠재력이 크다는 데 주목하고, 국방·안보, 공급망, 문화 등 분야에서의 협력 증진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스웨덴이 중립국감독위원회로 활동하며 그간 한반도 평화 증진에 기여해 온 것을 높이 평가했으며, 양 정상은 한반도 관련 사안에 대해 앞으로도 계속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양 정상은 빠른 시일 내 서로 만나 상호 관심사를 논의할 수 있기를 희망했습니다.
2025년 7월 23일
대통령실 대변인 강유정
관련 정보 더보기
본 게시물에 사용된 자료는 공식 출처에서 제공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
'대통령실 공식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실 브리핑] 이재명 대통령,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첫 통화 (2025년 7월 23일) (6) | 2025.08.02 |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강선우, 자진 사퇴 표명 (2025년 7월 23일) (3) | 2025.08.02 |
[브리핑] 이재명 대통령, 소비쿠폰 선불카드 색상 논란에 강력 질타 (2025년 7월 23일) (2) | 2025.08.02 |
[브리핑] 이재명 대통령, 지방시대위원장과 신임 장관 8명 임명장 수여 (2025년 7월 23일) (6) | 2025.08.02 |
[대통령 브리핑] 이재명 대통령, 타밈 카타르 국왕과 첫 정상 통화 (2025년 7월 22일) (6) | 2025.08.02 |